(충남도민일보) 최근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에서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 중국 의류산업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5.0% 증가한 2.3조위안에 달했으며 2021년에는 2.4조위안으로 전년대비 4.3% 증가할 전망이다. 2021년 상반기 중국 규모 이상 의류업체수는 12,467개에 달했으며 영업 총수익과 이윤 총액은 6,534억위안, 274억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각각 12.99%, 13.87% 증가했다. 또한, 상반기 의류 생산량은 113.23억벌로 전년 동기대비 19.98% 증가했다. 중국 의류 수출액은 2018년부터 계속 하락세를 보였으며 2020년에는 1,373.82억달러로 전년대비 6.4% 하락. 1-7월 수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32.9% 증가한 880.99억달러에 달한다. 수출액이 계속 하락하는 반면, 중국 의류 수입액은 2016년부터 계속 증가해 왔으며 2020년에는 93억달러로 전년대비 4.1% 증가. 1-7월 수입액은 전년 동기대비 46.1% 증가한 66.6억달러에 달한다. [ 출처: 중상정보망]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우즈벡철도공사(O'zbekiston Termi Yo'llari)는 스페인 TALGO로부터 아프로시얍(Afrosiyob) 고속철도용 열차 1편성(기관차 2량, 객차 11량, 예비객차 4량)을 신규로 도입했다. 우즈벡철도공사는 TALGO로부터 2011년 아프로시얍 고속열차 초도 편성을 인도를 받은 이후 금번 신규 도입으로 총 5편성의 고속열차를 보유하게 되며, 금년 9~10월경 6번째 고속열차가 추가 인도될 예정이다. [출처 : 주 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최종문 제2차관은 8.18일 웬디 셔먼(Wendy R. Sherman) 미국 국무부 부장관 주재로 개최된 20개국 외교차관 전화 회의에 참여하여, 최근 아프가니스탄 정세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협의했다. 전화 회의는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인도, 영국,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이탈리아 등이 참여했다. 참석자들 대부분이 아프가니스탄의 조속한 평화와 안정 및 자국민의 안전한 귀국을 위해 국제사회가 긴밀히 협력해 나가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 하고, 이를 위해 수시로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뉴스출처 : 외교부]
(충남도민일보)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8.18일 메블륫 차부쉬오울루(Mevlt avuolu) 터키 외교장관과 전화통화를 갖고, 양국 관계 및 아프가니스탄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양 장관은 아프가니스탄의 최근 정세 및 향후 전망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양 장관은 아프가니스탄의 상황이 국제사회의 예상보다 훨씬 더 빠르게 변화했다고 평가하고, 아프가니스탄의 평화와 안정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 하였으며 이를 위해 한-터키 양국간 긴밀히 협력해나가기로 했다. 한편, 양 장관은 최근 우리 국회의장의 터키 공식 방문(8.14-18) 등을 계기로 양국간 고위급 교류를 더욱 활성화 해나가기로 했다. 양 장관은 또한 최근 양국 중앙은행간 「원 · 리라 통화스와프 협정」이 체결된 것을 계기로, 양국간 호혜적인 경제·통상 관계를 지속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뉴스출처 : 외교부]
(충남도민일보) 영국의 에너지 씽크탱크 엠버(Ember)가 18일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올해 6~7월 EU의 태양에너지 생산량이 39TWh를 기록, 2018년 대비 10.9TWh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EU 총 전력생산의 10% 해당하는 규모로 특히 네덜란드(17%), 독일(17%), 스페인(16%), 그리스(13%), 이탈리아(13%), 헝가리(12%)에서 총 생산전력 대비 태양에너지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의 태양에너지 전력생산이 2018년 11.5TWh에서 2021년 13.4TWh로, 네덜란드가 1.1TWh에서 3.2TWh로 약 세배 증가하였으며, 이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강력한 법안 도입과 같은 움직임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헝가리의 경우 태양에너지 전력 비율이 2018년 6-7월 3%에서 2021년 6~7월 12%로 4배 증가하였으며, 화석연료 기반 전력은 17%에서 10%로 감소했다. 회원국들의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 동기간 석탄 생산 전력량은 58TWh로 EU 전체 전력량의 14% 차지, 아직까지 태양에너지 전력이 석탄생산 전력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EU 집행위는 기후정책 패키지의
(충남도민일보) 중국은 베트남의 코로나19 확산이 중국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시(Guangxi) 지역 내 베트남과의 국경문 중 하나를 일시적으로 폐쇄했다. 중국 광시주앙자치구(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n)의 세관은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안전 조치를 검토하기 위해 베트남 랑선(Lang Son)성과 접하는 국경문중 하나를 일시적으로 폐쇄했다. 이는 중국 광시 지역과 베트남 랑선의 국경문을 통과하는 운전자의 코로나 확진 사례와 연관된다. 현재 랑선성 당국은 안전 조치가 취해진 곳의 무역을 재개하려 중국 관리들과 협의 중이다. 지난 주 중국과의 접경 지역인 랑선(Lang Son)성, 꽝닌(Quang Ninh)성, 까오방(Cao Bang)성은 중국이 베트남으로부터 코로나 바이러스가 유입될 것을 우려해 통과하는 차량과 제품들에 대해 검사와 소독을 하는 빈도가 증가하여 상품의 운송시간이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있다. 한편, 중국은 올해 1~7월 기간 베트남의 두 번째로 큰 수출 시장으로 베트남의 對中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24% 증가한 287억 달러 수출액을 기록했다. [출처:https://e.vnexpres
(충남도민일보) 최근 화시즈(花西子), 퍼펙트 다이어리(完美日记) 등의 중국 본토 화장품 브랜드는 대규모의 마케팅 비용 투입을 통해 설립 4년 만에 인기가 급상승했다. 화시즈는 초창기에 라이브 방송에 매월 2,000만 위안(약 36억원)을 투자하고 뷰티 왕훙 리쟈치(李佳琦)에게 100%의 커미션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9년 1월부터 7월까지 리쟈치 방송에 45번 참가하였고 더우인, 샤오훙수, 웨이보 등 SNS 플랫폼에서 연예인과 협력하여 제품 홍보를 진행했으며 KOL 마케팅을 통해 젊은층 소비자를 공략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화시즈의 2019년 매출이 2018년 대비 25배 증가하였고 2020년 매출은 전년대비 165.4% 증가한 30억 위안(약 5409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제품을 OEM 생산하여 제품배합 연구개발 특허를 취득하지 못했으며 소비자 또한 제품보다 포장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현재 중국의 화장품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고 제품의 동질화 현상이 심하며 기술적 차이가 크지 않아 화장품 브랜드들이 마케팅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제품 마케팅 뿐만 아니라 기술 축적, 제품군 다양화 등
(충남도민일보) 아프리카-유럽-중동을 연결하는 세계 최대 해저케이블 프로젝트인 2Africa 컨소시엄이 설치 규모 확장을 발표했다. 2Africa 컨소시엄은 16일 세이셸과 코모로제도, 앙골라까지 거점 확대를 발표, 당초 23개국 28개 거점에서 26개국 35개 거점으로 설치 규모를 확장했다. 동 프로젝트는 아프리카대륙과 유럽, 중동을 잇는 3만7,000km 길이의 세계 최대 해저케이블 사업으로 2020년 5월 페이스북과 7개 통신사가 함께 런칭, 2023년 말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 China Mobile International, Facebook(Facebook.com), MTN GlobalConnect, Orange, stc, Telecom Egypt, Vodafone, WIOCC 이미 2Africa 케이블 제조업체로 선정된 노키아의 프랑스 자회사 알카텔 서브마린네크워트(ASN)가 이번 신규 거점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노키아는 물론 프랑스도 이 소식을 반기고 있다. ASN 대표 알랭 비스통은 거대 IT기업들이 통신망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 케이블 공급을 통해 더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면서 2018년~2023년 사이 시장규모가 20억 유로에
(충남도민일보)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는 호치민시는 5~10%의 지역 기업의 운영을 재개시킬 계획이다. 호치민시는 기업들이 운영을 계속할 수 있는 4가지 방안을 하기와 같이 제시했다. ※ 방안 1: 근무시간 이외에도 근로자들을 계속 회사에서 머물게 함 ※ 방안 2: 회사가 근로자들에 회사와 숙소 간 왕복 교통편을 제공 ※ 방안 3: 대부분의 직원이 백신 접종을 완료한 회사 간 그린존(green zone)을 설정하여 근로자들이 개인 이동수단으로 이동 가능. 단, 그린존 외 지역에서 정차 불가 ※ 방안 4: 방안 1~3의 내용을 종합하여 적용 호치민시는 8월 17일 오전 기준 15만 건 이상의 코로나19 확진 사례를 기록했다. 호치민시는 기존 70일간 이어진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을 오는 9월 15일까지로 연장했다. [출처:https://e.vnexpress.net/news/business/economy/covid-epicenter-hcmc-wants-5-10-percent-of-businesses-to-resume-operation-4341460.html]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메이퇀산꺼우(美团闪购, Instant Shopping) 소비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칠석(8.14) 생화 배달서비스 주문량이 지난해의 3배에 달했고 소비자의 70%가 '90허우(90년대생)'으로 나타났다. 도시별 주문량을 보면 베이징시가 1위를 기록했고, 그 다음으로 상하이, 선전, 광저우 등이며, 쑤저우, 둥관, 충칭 등 도시의 주문량도 대폭 증가했다. 메이퇀산꺼우를 통해 '90허우'가 주문하는 선물도 화장품, 애완동물용품, 디지털제품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으며, 화장품을 예로 들면 8월 14일 점심까지 매출이 평소의 2.4배에 달했고 립스틱과 향수가 가장 인기를 끌었음. 칠석 명절 첫 주문인 350위안(약 6.3만원) 가격대의 디올 립스틱은 32분 만에 배송이 완료되었다. [출처 : 신경보]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중국정보통신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7월 중국내 휴대폰 출하량은 전년 동기대비 28.6%, 전월 대비 11.7% 증가한 2,868만 대로 집계되었음. 이 중 5G 휴대폰 출하량은 2,283만 대로 전체의 79.6%를 차지하면서 최고치를 갱신했다. 1~7월 휴대폰의 누적 출하량은 전년 동기대비 15.6% 증가한 2억 대이고, 이 중 5G 휴대폰 출하량은 무려 94.3% 증가한 1.5억 대로 전체의 74.3%를 차지했다. 현재 중국내 휴대폰 시장은 본토 브랜드가 주도하고 있으며, 1~7월 본토 브랜드의 출하량이 전년 동기대비 13.3% 증가한 1.8억 대로 전체 출하량의 89.4%에 달했다. 5G 휴대폰의 보급은 전반 휴대폰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올해 7월 말 기준 중국내 5G 휴대폰 출하량은 총 3억 2,700만 대로 집계되었다. [출처:경제참고보]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유로존의 6월 역외 상품 교역이 181억 유로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유로존 19개국 : 벨기에, 독일, 아일랜드,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포르투갈, 핀란드, 그리스, 슬로베니아, 사이프러스, 몰타, 슬로바키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유럽통계청(Eurostat)이 13일 발표한 유로존 상품 교역 통계에 따르면, 유로존 19개국의 6월 역외 상품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23.8% 증가한 2,099억 유로, 수입은 28.2% 증가한 1,918억 유로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6월 유로존 무역수지가 181억 유로 흑자를 기록하였으며, 전년 동월 200억 유로 대비 소폭 감소했다. 주요 수출품목으로는 원자재(54%), 화학제품(21.2%), 기타 공산품(27.1%), 기계 및 운송장비(19.6%) 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중국, 미국, 영국, 러시아로의 수출이 각각 15.1%, 31.8%, 14.3%, 14.5% 증가했다. 주요 수입품목으로는 원자재(58.8%), 화학제품(21.7%), 기타 공산품(18.6%)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러시아, 미국, 스위스로부터의 수입이
(충남도민일보) 국제 인권단체인 ‘비즈니스 및 인권 자원 센터(BHRRC)’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 시 상당수의 기업 학대(corporate abuse) 사례가 발생했다고 발표하여 논란이 확산되고있다. 보고서는 2013년부터 2020년까지 679건의 해외 중국기업 인권침해 사례분석을 통해 미얀마·페루 등 중국 투자가 지배적이며 약한 정부가 있는 국가에서 가장 높은 학대 비율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국가별 인권침해 건수는 미얀마(97건)가 가장 많았고 페루(60건), 에콰도르(39건), 라오스(39건), 캄보디아(34건), 인도네시아(25건)가 뒤를 이었으며, 중국은 이 모든 국가의 주요 투자자 또는 무역 파트너다. 분야별로는 금속업과 광업이 총 인권침해 사례의 35%를 차지하여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설, 화석연료 분야가 뒤를 이었다. 태양광 및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 분야 역시 인권침해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전체의 13%에 해당하는 87건을 차지했다. BHRRC의 프로그램 디렉터인 골다 벤자민은 “중국은 그동안 '책임 있는 강대국'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Sustainable Developme
(충남도민일보) 인천시 남동구는 미니클러스터 참여기업의 해외 시장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오는 9월 화상 수출 상담회를 진행한다고 17일 밝혔다. 남동구 미니클러스터는 뷰티, 자동차 및 기계, 정보융합, 이업종 4개 분야 216개 기업으로, 상호 유기적 협력과 정보교류를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올해로 7회째인 미니클러스터 무역사절단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수출 유망국으로 파견했으나 2020년부터는 코로나19 여파로 언택트 방식의 해외바이어 화상 수출상담회로 대체·운영 중이다. 이번 수출 상담회 대상국은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 국가로, 미니클러스터 회원 중소기업 중 수출 경쟁력을 평가해 15개사의 참여기업을 선정한다. 구는 중국 현지의 해외 시장조사를 통해 맞춤형 바이어를 발굴하고, 선정된 기업에게 화상상담과 통역 서비스, 샘플 발송 물류비용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상담회는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해 기업, 해외바이어, 통역, 남동구(해외민간네트워크, 인천상공회의소) 4자 회의 시스템으로 진행할 예정이며, 해외 바이어 선별과 기업 간 매칭은 인천상공회의소 국제통상실에서 협력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9월 3일까지 남동구 기
(충남도민일보) 세계적인 탈탄소화 추진과 함께 리튬, 코발트, 니켈 등 전기자동차(EV) 배터리에 필요한 "배터리 메탈"의 가격이 크게 오르며 향후 계속되는 급등이 우려되고 있다. 리튬의 지표인 '탄산리튬'의 중국내 가격은 현재 1톤 8만8천위안 전후로 전년대비 2.2배 상승했다. EV가 향후 본격적으로 보급이 확대되고 수요가 급증할 경우 배터리 금속의 가격은 더욱 오를 가능성이있다. 가격급등을 우려하는 자동차 업계 등 수요자측은 스스로 자원을 확보하거나 희소금속의 사용을 대신할 대체품의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자동차전지의 세계적 대기업 중국 CATL은 4월 콩고에서 코발트광산 지분을 소유했고 중국기업에 출자한 미 테슬라도 네바다주에서 리튬 함유 점토광산의 지분을 취득했다. 공급부족으로 가격급등의 가능성이 항상 따르는 가운데, 수요자측에서 기대를 모으는 것이 대체전지의 개발이다.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EU 집행위가 EU 역내 휴대폰 및 기타 전자장비 충전기를 단일화하는 법안을 9월 경 제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집행위는 과거 10여년 이상 휴대폰 충전기 단일화를 추진해왔으나, 기술혁신 장애 및 충전기 교체에 따른 막대한 폐기물 발생 등을 주장한 업계의 반발에 무위에 그쳤다. 2011년 애플, 삼성, 화웨이 및 노키아가 신규 모델 휴대폰 충전기를 단일화하는 자발적 양해각서에 서명, USB 2.0 micro-B로의 통일이 상당부분 진전된 바 있고,이후 2018년 집행위가 추가적 충전기 단일화를 위해 업계와 조율을 추진한 바 있으나, 최종적으로 실패한 바 있다. 작년 유럽의회는 환경보호 및 소비자 편익 증진을 위해 충전기 단일화 추진 권고안을 압도적 다수로 채택하는 등 충전기 단일화 여론은 확산하는 양상이다. 충전기 단일화 법안이 통과해 USB C로의 단일화가 추진되면, 아이폰 제조사 애플이 가장 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집행위의 2019년 조사에 따르면, 2018년 기준 EU 역내 판매되는 전체 충전기 가운데 안드로이드 충전용 USB micro-B와 USB C가 각각 50% 및 29%, 아이폰용 라이트닝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