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민일보) 정부는 9.7일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경제통상 관련 외교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유명희 전(前)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경제통상대사로 임명하였다. 유명희 대사는 외교통상부 FTA정책과장, 주중국대사관 참사관, APEC 사무국 파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실장과 통상교섭본부장을 역임한 경제통상 분야 최고 전문가로 30여 년간 국익 증진을 위해 힘써 왔으며, 작년에는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WTO 사무총장에 입후보하여 최종 결선에 오른바 있다. 앞으로 신임 유명희 대사는 다양한 경험과 풍부한 인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세계경제의 구조적 전환기에 우리 정부의 경제통상 분야 외교활동을 지원하고, 중장기적 대외경제 전략을 제언하는 한편 정부-기업 간 소통 촉진 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뉴스출처 : 외교부]
(충남도민일보) EU 탄소배출권거래제도(ETS)상 배출권 거래가격이 8월말 사상 최고치인 톤당 60유로를 돌파, EU 집행위는 단기적 현상임을 강조하며 시장에 침착한 대응을 요구했다. 8월 30일(월) EU 탄소배출권 가격이 톤당 60유로로 사상 최고액을 기록한 가운데, 이의 효과로 9월 1일, 전기거래가가 MWh 당 140유로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EU 집행위가 '그린 딜'의 일환으로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CBAM)과 EU ETS 제도개편 법안을 발표한 가운데, 배출권 가격 급등이 관련 법안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EU 집행위는 배출권 가격상승이 천연가스 가격인상과 배출권 가격 현실화를 위해 2년 전 단행한 EU ETS 제도개편에 의한 영향으로 단기적인 문제에 불과하다는 분석이다. 특히, CBAM 및 EU ETS 개편 영향평가 시 집행위가 배출권 가격을 톤당 50~80유로로 상정함에 따라, 배출권 가격인상이 관련 정책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으로 평가했다. 한편, 일각에서 주장하는 배출권 거래가격상한제에 대해, 전문가들은 배출권 가격상승이 기업의 탄소배출 절감 노력을 촉진한다는 점을 근거로 대체로 부정적 입장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E
(충남도민일보) 전기자동차(EV) 기술에서 일본 자동차 업계가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경제신문과 미국 페이턴트리절트(PatentResult)가 미국에서 출원된 EV 관련 특허를 기준으로 분석했다. 특허의 중요도를 점수화해 출원기업을 대상으로 순위를 매긴 결과, 도요타자동차가 선두, 혼다가 3위로,일본 기업이 상위 50개사중 40%를 차지했다. 미국기업은 포드모터가 2위이고 상위 50개사중 13개사가 들었고, 독일과 한국이 각각 5개사 였다. 중국기업은 32위의 EV 대기업 비야디(BYD) 등 2개사에 그쳤다. 일본 자동차 업계의 경쟁력은 하이브리드 자동차(HV)에서 축적된 기술로 EV로 이어지고 있다. 모터와 배터리 등 HV와 EV는 공통되는 부품이 많으며, 도요타는 충방전 등 배터리의 제어기술 등에 강하다. 1997년에 상용화한 세계 최초의 양산형 HV 「프리우스」 이래의 기술 축적이 지속 디고있다. 한편에서는 일본 업계에서는 기술우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판매에서의 부진을 우려하고 있다. 판매에서 우위에 있지 않으면, 기술에서 후퇴할 수 있다는 점을 염려했다. 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자동차의 2020년 세계
(충남도민일보) 8월 한 달 베트남 무역적자는 13억 달러를 기록하여 1~8월 누적 무역적자가 37억 1천만 달러로 증가했다. 8월 수출입액은 537억 달러로 전월대비 약 6% 감소했다. 베트남 내 4차 코로나19 확산으로 각 지역의 사회적 거리 두기 시행이 연장되었고 수출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올해 초에는 수출입 증가로 1~8월 누적 수출입액이 전년동기대비 27% 증가한 4,288억을 기록했다. 베트남은 1~8월 누적 수출액 2,155억 5천만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21.2% 증가하였으며 같은 기간 누적 수입액은 2,162억 6천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3.8% 증가했다. 1~8월 베트남의 최대 수출 대상국은 미국으로 수출액이 62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하였으며 중국(327억 달러), 유럽연합(260억 달러)이 뒤를 이었다. 1~8월 베트남의 최대 수입국은 중국으로 약 725억 달러 수입액을 기록하였으며 한국(346억 달러), 아세안(280억 달러)이 뒤를 이었다. [출처:https://e.vnexpress.net/news/business/economy/trade-deficit-crosses-3-7-billion-4350072
(충남도민일보) OPEC+, 9/1 열린 석유장관 회의에서 하루 40만 배럴씩 증산하기로 한 계획을 다음달에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OPEC+, "코로나19 팬데믹이 계속돼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가운데 시장의 잠재력은 강해지고 경기 회복세도 뚜렷. OPEC 국가들의 원유 재고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며 증산 이유를 설명했다. OPEC+는 지난 7/18 지난 해 합의했던 감산 규모를 줄이는 방식으로 8월부터 매달 하루 40만 배럴씩 증산하기로 합의(당시 전체 감산 규모는 580만 배럴 수준)했다. 내년 세계 원유 수요 전망치도 상향 조정(328만bpd → 420만bpd)했다. 다음 정기회의는 10/4 예정이다. [출 처 : S&P Global]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최근 한국, 일본 및 인도 등의 주요 플랫폼사업자의 경쟁제한적 관행에 대한 규제 움직임이 EU의 디지털시장법(DMA) 등 관련 입법에 영향이 미칠지 주목된다. 한국의 이른바 '구글 갑질방지법'이 국회를 통과, 플랫폼사업자의 앱 판매대금 결제수단 독점을 금지하고, 일본 공정위와 애플은 컨텐츠사업자가 자체적인 결제수단 링크를 애플 앱상에 제공토록 허용하는데 합의했다. 인도 정부도 플랫폼사업자의 자사 앱 구매시스템 사용 강요 등에 대한 자국 경쟁법 위반 혐의조사에 나서는 등 아시아를 중심으로 플랫폼사업자 규제가 확산 중이다. EU는 애플과 구글 등 플랫폼 사업자와 컨텐츠사업자 및 개발자간 공정한 경쟁을 위해 행정조사, 사법적 심판 및 디지털시장법 등 입법조치를 추진 중이다. EU 집행위는 컨텐츠사업자가 소비자에게 애플 이외의 다른 플랫폼 또는 대체 결제수단 권유를 금지하는 이른바 '안티 스티어링(anti-steering)' 조항과 관련한 규제를 디지털시장법(DMA)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와 관련, 일본 공정위와 애플간 합의에서 해당 조항의 문제점이 일부 해소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애플의 구체적인 양보 내용은 아직
(충남도민일보)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은 3일 오후 시청 접견실에서 오타르 베르제니쉬빌리 주한 조지아대사를 접견하고 광주와 조지아 간의 문화·예술교류 등에 대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용섭 시장은 “대사의 광주 방문을 환영한다”며 “지난해 샬로메 주라비슈빌리 조지아 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의에 대해 높이 평가해 주신 것에 대해 광주시민을 대신해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오타르 베르제니쉬빌리 주한 조지아대사는 “민주주의 역사에 있어 특별하고 아름다운 문화·예술의 고장 광주에 방문하게 돼 기쁘다”고 인사를 전했다. 이어 “조지아와 광주는 민주주의의 가치, 사회의 강한 결집력을 가졌다는 점에서 비슷하다”며 “앞으로 광주와 문화, 민주주의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류, 그리고 자매도시 논의 등 좋은 인연을 이어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이번 주말 광주독립영화관에서 처음 열리는 조지아영화제는 광주시민들이 조지아와 조지아 국민들을 폭넓게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며 “문화, 예술, 경제 등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광주와 조지아 간 긴밀한 우호협력 관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협력해 주시길 바란다”
(충남도민일보) 2019년 개정 EU '에코디자인규정' 및 '에너지라벨규정'이 9월 1일 발효, 형광등과 할로겐전구 등의 판매가 금지되고, 조명기기에 대한 새로운 에너지 효율표시제가 시행된다. EU는 소비자의 정확한 에너지효율 정보에 기초한 제품 선택을 통한 에너지비용 절감, 환경 부담 완화를 위해 EU 에코디자인규정과 에너지라벨규정을 2019년 개정했다. 발효된 개정법은 주로 조명기기 에코디자인 및 에너지라벨에 관한 것으로, 이번 개정으로 2030년까지 연간 7백만 톤(mtCO2eq)의 CO2 배출이 절감될 것으로 추산된다. 에코디자인규정의 에너지효율 요건 강화로, 향후 18개월간 판매 허용되는 기존 재고 외 신품 형광등, 할로겐전구 판매가 금지되고, 일부 품목은 2년간 순차 금지 예정이다. 또한, 개정 에코디자인규정에 따라, 전구의 제거 및 교체 가능성, LED와 OLED의 내구성 등에 관한 새로운 요건도 도입됐다. 개정 에너지라벨규정에 따라 기존 A+, A++, A+++ 에너지효율 등급표시를 A-G로 전환, 매장은 18개월, 온라인 쇼핑몰은 14영업일 이내 변경된 등급표시를 적용해야 한다. 특히, 기존 최고 에너지효율 등급을 신제도
(충남도민일보) 유럽의회 진보계열 정파를 중심으로 다이아몬드 원석 교역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협의체인 2002년 '킴벌리 프로세스' 자체에 대한 근본적 개정 요구가 확산되고있다. 킴벌리 프로세스(Kimberley Process Certification Scheme)는 다이아몬드 원석 수출입에 관한 국제협의체로, 다이아몬드 판매 자금의 분쟁지역 무기구입자금원 유입 방지가 목적이며, 최초로 공급망실사 인증제도가 도입된 점에서 주목된다. 사민당그룹 등 유럽의회 진보계열 정파는 EU 집행위가 3월에 제안한 킴벌리 프로세스 이행법률 일부 개정안과 관련, '분쟁 다이아몬드'의 정의 등 프로세스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인권보호 여론 확산 속에, 다이아몬드 생산 관련 광범위한 인권침해 점검 필요성을 강조, 10월 발표 예정인 EU 공급망실사 법안과 연계해 협의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최대정파 국민당그룹(EPP)은 이번 개정이 킴벌리 프로세스 이행 법률 간소화 및 불확실성 제거 목적으로, EU 이사회처럼 의회도 수정 없는 집행위 원안 채택을 촉구했다. 한편, 집행위도 3월 개정안이 법적 간결성 및 명료성 제고를 위한 제안
(충남도민일보) 행정안전부는 대한민국 정부가 7월 19일에서 8월 11일(미국 동부 시간 기준)까지 실시된 열린정부파트너십(Open Government Partnership, OGP) 전체 회원국 대상 투표에서 OGP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운영위원회 정부위원으로 재선출(임기: 2021.10.01~2024.9.30.)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그간 적극적인 시민참여를 통해 민주주의를 발전시켜온 우리 국민들의 노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긍정적인 평가로 해석된다. 이번 선거에서는 우리나라와 함께 영국, 에스토니아, 모로코, 나이지리아가 운영위원으로 선출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7년 OGP 운영위원회에 진출한 데 이어, 지난해 10월 OGP의 제11대 의장국으로 선출되어, 현재 열린정부 분야의 국제적 논의를 선도하는 등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OGP는 정부와 시민사회의 협력을 기반으로 정부의 투명성 및 시민참여를 증진하기 위한 국제민관협의체이다. 현재 미국·영국·캐나다 등 78개국을 비롯하여 76개 지방정부 및 수천 개의 국제시민사회단체가 함께 활동하고 있다. 운영위원회는 11개국 정부와 11개 시민사회단체 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임기는 3년으로
(충남도민일보) 최승준 정선군수는 2일 군수 집무실에서 제8대 전종남 정선아리랑문화재단 이사장에 대한 임명장을 수여했다. 재단에서는 이날 아리랑센터에서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준수한 가운데 전종남 이사장 취임식을 개최했으며, 전종남 이사장은 7대에 이어 연임됐다. 전종남 이사장은 정선아리랑의 전승과 정선아리랑 콘텐츠 산업 활성화, 해외교류 및 이미지 강화를 통해 정선아리랑의 국제적 위상확립과 지역브랜드 가치 향상을 꾀하고 재단의 조직역량 강화를 통한 경영성과를 창출하겠다며 취임 소감을 밝혔다. 전종남 이사장은 강릉원주대학교 행정학 석사로 정선군 도시건축과장, 지역경제과장, 고한읍장, 북평면장, 의회사무과장, 자치행정과장, 행정과장 등을 역임했다. [뉴스출처 : 강원도 정선군]
(충남도민일보) 유럽의회는 1일(수) 대만과 투자보호협정 추진을 권고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결의안은 EU-대만 양자간 투자보호협정 체결 및 경제 유대관계 확대를 위해, 협정 체결의 영향평가, 공청회 및 사전조사(scoping exercise)를 조속히 수행하고,중국과 외교적으로 대립하고 있는 리투아니아의 대만 외교공관 설치를 지지하며, 대만의 세계보건기구(WHO)에서의 역할 확대를 지지하는 내용이다. 유럽의회는 이번 결의안을 통해 대만을 동등한 교역상대국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중국의 압력에 굴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발신하려 한다는 평가다. EU가 대만과 투자보호협정 협상을 개시하는 것 자체가 중국의 '하나의 중국' 정책에 반하는 매우 민감한 사항이며, 따라서 이번 결의안에 대한 중국의 반발은 불가피하다. 앞서 EU가 중국 정부의 위구르 소수민족 인권탄압을 이유로 제재조치를 부과한데 대해, 중국은 유럽의회 의원 등을 대상으로 더욱 강력한 제재조치로 맞대응했다. 이에 유럽의회는 EU-중국 포괄적투자보호협정(CAI) 비준절차를 중단하며, 중국에 CAI 비준절차 재개의 조건으로 제재조치 철회를 요구했다.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iiMedia Research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코로나 영향으로 인해 중국 화장품 시장은 전년 동기대비 7% 하락한 3,958억위안이었다. 2021년 화장품 시장규모는 4,781억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20.79% 상승하며, 2023년 시장규모는 5,125억위안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 첨단 브랜드는 중국 화장품시장의 주도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로레알, 에스티로더, 랑콤등 브랜드는 상위3위를 차지했으며, 시장 점유율은 각각 5.4%, 4.6%, 4.4%이었다. 클렌징은 중국 소비자가 자주 쓴 제품이며, 침투율은 73%이었음. 마스크팩 및 로션은 2,3위로 55.2%, 50.2%를 차지했다. 클렌징, 로션, 에센스등 주로 소비군은 31~40세 연령층, 마스크팩, 선크림, 토너는 26~30세 연령층이었다. 국가통계국 통계에 따르면 2015년~2020년 중국 화장품의 소비규모는 2,049억위안에서 3,400억위안으로 증가했으며, 복합증가율은 8.81%이었다. 2020년 중국 화장품의 소매총액은 3,400억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9.5% 증가했다. [ 출처: iiMedia Research ] [뉴스출처
(충남도민일보) 하노이 산업 단지의 약 30%가 운영중이며 나머지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운영이 중단된 상황이다. 8월 중순 기준, 3,600개 기업 중 1,077개 기업이 영업중이다. 기업이 운영을 지속하기 위해서 일과시간 이후에도 근무지에서 머무르거나 근무지와 자택만을 왕복할 수 있도록 제한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기업 운영으로 기업은 비용 상승과 생산성 저하, 매출 감소를 기록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이후 기업들의 생산량은 평균적으로 20% 감소하였으며 이는 근로자 소득에도 영향을 주었다. 하노이시 산업통상부서는 공급망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산업단지 근로자들에 우선적으로 백신 접종할 것을 제안했다. 베트남 수도 하노이는 지난 7월 24일부로 도시 전체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였으며 4월 말 코로나19 4차 확산으로 3,436 건의 감염사례를 기록했다. 한편, 하노이에는 현재 70개의 산업단지가 있으며 올해 10~15개의 신규 산업단지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출처:https://e.vnexpress.net/news/business/economy/less-than-one-third-of-hanoi-manufacturers-
(충남도민일보) 2020년 현재 시행중인 EU의 對중국 무역구제조치가 총 99건으로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교역상대국의 對EU 무역구제조치 건수도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EU 집행위가 30일(월) 발표한 2020년 EU 무역구제조치 현황에 따르면, 對중국 무역구제조치는 총 99건으로 다른 교역상대국에 비해 월등히 많은 조치가 시행중이며, 다음으로 러시아(9건), 인도(7건), 미국(6건) 순으로 나타났다. 집행위는 코로나19 사태에도 효과적으로 무역구제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제3국 경유 보조금 지급 등 새로운 불공정 무역관행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다며 자평했다. 집행위는 보고서의 별도 섹션을 통해 중국 정부의 제3국 경유 보조금 지급 등 새롭고 다양한 방식의 보조금 관행을 지적하는 등 보조금 관련 투명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집행위는 관련 사례로 2020년 중국 정부가 일대일로 사업의 일환으로 이집트 소재 중국계 유리섬유 및 가공품 생산 공장에 지급한 보조금 상계관세 조사의 건을 제시 했다. 한편,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교역상대국이 EU에 대해 취하고 있는 무역구제조치는 EU가 관련 모니터링을 시작한 39년간 최다인 178건에
(충남도민일보)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가 8월 27일자로 발표한 ‘중국 인터넷 발전 현황 통계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중국의 네티즌 인구는 10.1억 명에 도달했다. 이 중 농촌지역 네티즌 인구는 3억 명으로 중국내 인터넷·과학기술 업체는 4, 5선 도시 및 농촌 진출을 강화하며, 농촌지역의 물류 및 데이터서비스 시설이 개선되면서 소비와 유통, 생활서비스, 문화·오락 콘텐츠, 의료·교육 등 분야에 영향주고 있다. 한편 6월까지 온라인 음식배달 서비스, 원격근무, 온라인 의료서비스 이용자 규모는 각각 4.7억 명, 3.8억 명, 2.4억 명으로 증가했다. [출처 : 신경보]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