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민일보) 제76차 유엔 총회 계기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정의용 외교부장관은 9월 21일 17:50-18:20(현지시간) 간 「수브라마냠 자이샨카르(Subrahmanyam Jaishankar)」 인도 외교장관과 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 ▲인적 교류 증진, ▲한반도 정세 및 ▲실질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심도 있는 협의를 가졌다. 양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 및 나렌드라 모디 총리 간 각별한 우의와 신뢰를 바탕으로 한 양국의 「특별 전략적 동반자관계(Special Strategic Partnership)」 관계가 한층 심화되었음을 평가하고, 우리의 신남방정책과 인도의 신동방정책(Act East Policy) 간 시너지 강화를 위해 다방면에 걸쳐 지속 노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또한, 양 장관은 양국의 코로나19 상황 등을 보아가며 ▲외교장관 간 공동위 개최, ▲외교·국방(2+2) 차관회의 개최 등 고위급 교류 재개를 적극 추진키로 하였다. 양 장관은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경제·사회 분야 위기를 조기에 극복하기 위해 기업 포함 민간 분야 교류 협력을 더욱 촉진시키기위해 노력하기로 하였다. 또한, 정 장관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충남도민일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월 20일부터 24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 국제원자력기구 본부에서 173개국 회원국 대표들이 모인 가운데 개최되는 제65차 IAEA 정기총회에서우리 정부의 수석대표인 용홍택 제1차관이 기조연설 (9.21화, 영상)을 하였다고 밝혔다. IAEA는 사상 유례없는 글로벌 감염병인 코로나-19로 인해 작년에 이어 올해도 화상회의를 포함하여 제한적 방식으로 총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를 비롯한 일본 · 중국 등 여타 주요 회원국들은 수석대표의 기조연설 녹화영상을 IAEA에 제출하였고, IAEA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회원국들이 제출한 기조연설 영상을 총회 당일 회의장과 IAEA 웹사이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각 회원국들에 공유하였다. 우선, 용차관은 기조연설 첫머리에서 IAEA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ZODIAC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해양 플라스틱오염 처리기술 개발을 위한 노력 등을 높이 평가하고 적극 지지한다는 우리 정부의 입장을 표명하였다. 이어 우리 정부가 최근 2년에 걸쳐 코로나19 등 회원국들의 감염병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특별 예산으로 130만불을 기여한 바와 같이 올해에도 IAEA 방사선
(충남도민일보) 농림축산식품부는 9월 23일 영상회의로 개최되는 유엔 푸드시스템 정상회의에 김현수 장관을 수석대표로 하여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정상회의는 2030년까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푸드시스템 전환이 필요하다는 유엔 사무총장의 제안에 따라 개최하게 되었다. 안토니오 구테레쉬(Antonio Guterres) 유엔 사무총장은 지난 9월 13일 성명을 통해 “식품에 희망이 있다(In food, there is hope)”라면서 푸드시스템 전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정상회의는 뉴욕 시각으로 23일 하루, 오전 9시부터 22시까지 영상회의로 개최된다.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회원국과 푸드시스템 이해관계자들에게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행동을 촉구하는 「유엔 사무총장 선언문」이 발표될 예정이다. 또한, 회원국 및 국제기구 대표 등도 푸드시스템과 관련된 사항의 개선 방향에 대해 발언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대표로 참석하는 김현수 장관은 국가식량계획의 핵심 내용을 소개하고 국제협력 의지를 발언할 예정이다. 참고로, 이번 정상회의는 “모두의 정상회의(people’s summit)”라
(충남도민일보) 박장호 국제기구협력관은 9월 20일부터 21일까지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개최된 「2021 OSCE 아시아 회의」에 참석하여, 새로운 안보위협과 도전에 대한 공동 대응방안을 논의하였다. OSCE 아시아 회의는 OSCE와 아시아협력동반자국 간 주요 안보 이슈 및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회의로, 2000년 이래 협력동반자국에서 매년 순번제로 개최되었다. 금번 회의에는 안 린데(Ann Linde) OSCE 의장(스웨덴 외교장관), 림 족 호이(Lim Jok Hoi) ASEAN 사무총장 등이 참석하여 △초국경 조직범죄 대응 강화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경제·환경 협력 강화, △인권과 공중보건에 대한 각국의 경험을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하였다. 박 협력관은 각국의 공중보건 조치가 건강권·생명권 등 인권 보호에 핵심적인 동시에, 과잉 집행될 경우 사생활, 결사집회·이동의 자유 등 인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고, 특히 이주민들이 이러한 인권 침해에 더욱 취약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아울러 전세계 보건 인력의 다수를 차지하는 여성의 역할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우리나라는 ‘글로벌 감염병 대응협력 지지 그룹(G4IDR)’
(충남도민일보) Grand View Research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중국 콜라겐의 시장규모는 9.83억달러로 증가했으며, 전세계 콜라겐 시장의 6.4%를 차지함. 2021년 및 2027년 중국 콜라겐의 시장규모는 각각 10.65억달러, 15.76억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중국 천연(天然) 콜라겐의 생산량은 2,000톤에 달했으며, 전세계 생산량의 6.33%를 차지함. 2027년 천연 콜라겐의 생산량은 3,070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전세계 콜라겐의 시장규모는 153.6억달러임. 콜라겐을 주로 활용한 분야는 의료건강, 식품 및 음료, 화장품, 기타이었으며 각각 49.8%, 6.5%, 12.9%, 30.7%를 차지했다. 2019년 전세계 의료건강 분야의 콜라겐 시장규모는 76.04억달러였으며, 2021년 시장규모는 81.06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중상정보왕]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올해 베트남은 전년대비 2% 증가한 약 300억 달러 규모의 외국인직접투자(FDI)를 유치할 것이라고 경제학자들은 전망했다. 산업통상부 베트남 무역진흥청 前 국장 Phan Huu Thang은 올해 베트남 FDI 유치액이 3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코로나19 확산에도 불구하고 올해 1~8월 FDI 유치는 긍정적이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올해 첫 8개월간 전년동기대비 98% 수준인 191억 2천만 달러를 베트남 내 프로젝트에 투입했다. 싱가포르 투자자들은 롱안(Long An) 1, 2호 LNG 발전소에 31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다. 일본은 껀터(Can Tho)시 오몬(O Mon) 2 화력발전소에 13억 1천만 달러를 투자했다. 하이퐁(Hai Phong)시에 있는 엘지 디스플레이 프로젝트는 지난 2월과 8월에 각각 7억 5천만 달러, 14억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신규등록자본은 전년동기대비 16.3% 증가하였고 FDI 자본 지출은 전년동기대비 2% 증가한 115억 8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베트남 외국인투자기업협회(VAFE) 부회장 Nguyen Van Toan은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에도 불구하고 1~8월 베트남의
(충남도민일보) 올해 1~8월 누적 베트남 시멘트 생산량은 7,070만 톤으로 전년동기대비 4% 증가하였으며 수출량은 증가하였으나 국내소비량은 감소했다. 1~8월 누적 베트남 시멘트 생산량 중 해외 수출량은 전년동기대비 12% 증가한 2,723만 톤을 기록했다. 국내 소비량은 전년동기대비 5% 감소한 4,354만 톤을 기록했다. 8월 당월 시멘트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8% 감소한 809만을 기록하였으며 이 중 국내판매량이 497만 톤, 해외판매량이 312만 톤을 차지했다. 4차 코로나19 확산 이전 1월부터 4월까지 베트남의 시멘트와 클링커(Clinker) 수출량 및 수출액은 높은 증가율을 유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의 연장이 국내 시멘트 소비에 큰 타격을 줬다. 4월 말, 베트남 내 4차 코로나19 확산으로 하노이와 호치민시, 19개의 남부 지역 내의 건설 현장들이 중단되면서 이후 몇달 간 시멘트 소비수요가 감소했다. 한편, 베트남 시멘트와 클링커의 가장 큰 수출시장은 중국, 필리핀, 방글라데시다. [출처:https://en.vietnamplus.vn/cement-exports-up-domestic-consumption-down
(충남도민일보) EU 이사회 순회의장국 슬로베니아는 유럽 시청각·미디어 컨텐츠의 문화적 다양성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관련 법률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코로나19 사태로 넷플릭스 등 스트리밍 서비스와 전통 미디어간 격차 확대, 유럽 창조·문화산업 유통의 스트리밍 플랫폼 의존도 심화 등이 정책 추진의 배경이다. 슬로베니아는 8월말 각 회원국에 전달한 문건에서, EU 집행위와 각 회원국에 유럽 문화적 다양성 보호, 로컬 컨텐츠 육성·투자 확대 및 플랫폼 규제 감독 강화를 주문했다. 또한, 온라인서비스, 플랫폼서비스 및 컨텐츠 생산자 사이의 공정한 관계를 보장하기 위해, EU 저작권법의 라이센싱 방식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건은 규제 대상 플랫폼을 '게이트키퍼(gatekeeper)'로 언급, 게이트키핑 플랫폼 규제를 위한 '디지털시장법(DMA)'과 시청각 컨텐츠 규제가 연계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EU는 '시청각·미디어서비스지침(Audiovisual Media Services Directive)' 개정안을 2018년 채택했으나, 아직까지 11개 회원국이 이를 국내법으로 전환하지 않은 상황이다,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9월17일부터 9월18일간 ‘농식품 시스템의 지속가능성(the sustainability of food systems)’을 주제로 개최되는 회의에 영상으로 참석할 예정이다. 올해 의장국인 이탈리아는 이번 회의를 대면 및 영상을 병행 방식으로 주재할 계획이며, G20 및 초청국의 농업각료와 국제기구 고위급 인사들이 참석하여 코로나19, 기후위기에 대응하여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이틀간 5개의 주제로 나뉘어, 경제, 환경, 사회적 지속가능성과 농업의 회복력 구축을 위해 필요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회원국 간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이번 회의는 주제별로 농식품 분야의 지속가능성 달성을 위한 각 회원국의 노력, 기아 종식을 위한 국제 협력방안, 세계 보건 위기 가운데서도 지속가능한 농업의 추진방향에 대하여 논의가 모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현수 장관은 코로나19, 기후 위기 등 전 지구적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농식품 분야의 공동목표 달성을 위한 G20 회원국 간의 협력을 강조하고, 농업과 농촌 분야의 포용성 증진, 친환경·저탄소 농업으로의 전환, 디
(충남도민일보) 올해 초 새로 부임한 남스라이 에르덴토야(Namsrai ERDENETUYA) 주한 몽골대사가 9월 16일 인천을 방문했다.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남스라이 에르덴토야 주한 몽골대사가 장제학 국제관계대사를 만나 ‘울란바토르 위성도시 조성’과 관련해 인천의 스마트 도시 경제자유구역 조성 경험을 공유하고, 향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인천시의 적극적인 협력과 지원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몽골은 수도 울란바토르의 인구 집중 현상을 완화하고자 신도시 개발사업을 계획 중이다. 에르덴토야 대사는 올 하반기 몽골 도시개발부 장관이 방인 예정이라고 밝히며 인천시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했다. 장제학 대사는 “에르덴토야 대사의 부임을 축하하며 앞으로의 역할이 기대 된다”고 말했다. 또한“지난 한-몽 화상 정상회담 직후 성사된 만남인 만큼 그 의미가 각별하다”면서 “이를 계기로 국가 간, 나아가 도시 상호 간 파트너십을 더욱 공고히 해 인천-몽골 간 교류가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에르덴토야 대사는 장 대사와의 면담을 마친 후, 인천 경제자유구역청으로 이동해 홍보관을 시찰했다. 한편. 인천시는 2017년 5월 24일 몽골 울란바토르와 자매도
(충남도민일보) 코로나19 확산에도 불구하고 전자기기 소매업, 주식 중개업, 물류업, IT 부문은 매출이 증가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학교가 아닌 집에서 개학을 맞이함에 따라 Digiworld, FPT shop, Petrosetco와 같은 전자기기 소매점들의 매출이 급증했다. 매출이 급증한 Digiworld의 주가는 지난 화요일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연초 이후 274% 상승했다. 사람들이 새로운 투자 채널로 주식을 선택하며 주식 중개업 부문이 활성화되고있다. 올해 1~8월 누적 증권계좌 개설 건수는 84만 2,400여 건으로 최근 3년간의 개설 건수를 합한 수치보다 더 많은 건수를 기록했다. 물류 및 항만 부문의 기업은 경제 회복에 따른 상품 운송 수요 증가로 매출이 증가하여 성장했다. 올해 상반기 베트남 국영해운기업(VIMC)의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0% 증가한 2억 6,956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동나이항은 매출이 38% 증가했다. IT 부문 역시 수요 증가로 매출이 증가했다. 베트남 IT 대기업 FPT社는 2분기 신규 계약금액이 전년동기대비 44% 증가한 2억 5,434억 달러를 기록했다. [출처:ht
(충남도민일보) 정의용 외교부장관은 9.15일 도미닉 랍(Dominic Raab) 영국 외교·영연방·개발부(FCDO) 장관과 전화통화를 갖고, △한-영 양자관계 △기후변화 대응 △지역 정세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양 장관은 양국이 양자 간 협력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대응 및 보건 등 주요 국제 현안에 대해서도 협력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는 것을 환영하고, 앞으로도 고위급 교류를 활성화하고 협력을 지속 확대·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정 장관은 오는 11월 개최될 COP26이 의장국 영국의 리더십 하에 성공적으로 개최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하면서, 금번 COP26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의지가 결집되고 각국의 기후행동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한국도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했다. 양 장관은 한반도 상황과 아프가니스탄 정세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뉴스출처 : 외교부]
(충남도민일보) 노규덕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9.15일 오후 성 김(Sung Kim) 미국 대북특별대표와 韓美 북핵 수석대표 유선 협의를 가졌다. 양측은 금일(9.15)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체 발사에 대한 상황 평가를 공유하고, 향후 대응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韓美는 한반도 정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가운데 북핵·북한 문제 관련 긴밀한 공조를 이어나가기로 했다. [뉴스출처 : 외교부]
(충남도민일보) 정의용 외교장관은 9.15일 왕이(王毅, WANG Yi)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한중 외교장관회담 및 오찬을 갖고, △한중 양자관계 △한반도 문제 및 △지역·국제문제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다. 양 장관은 지난 2.16. 한중 외교장관 간 전화통화, 4.3. 중국 샤먼 개최 한중 외교장관회담, 6.9. 전화 통화에 이어 상호 간 긴밀한 소통을 지속해 오고 있음을 평가하고, 앞으로 비대면·대면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외교장관 간 소통의 정례화를 포함하여 양국 고위급 간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양측은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되어 여건이 갖추어지는대로 시진핑 주석의 방한을 추진한다는 공감대를 재확인하였다. 양측은 의회 간 교류 활성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는 한편, 외교차관 전략대화 및 외교안보대화(2+2)를 연내 개최하기로 하고, 경제공동위, 해양협력대화, 영사국장회의 등 다양한 분야의 양국 간 협의체를 조기 가동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 장관은 한중 수교 29주년 기념일(8.24.)에‘한중관계 미래발전위원회’가 성공적으로 출범한 것을 환영하는 한편, 금번 왕이 위원 방한 계기에‘한중 인문교류 촉진위
(충남도민일보) EU와 미국이 '메탄' 배출을 2030년까지 2020년 대비 최소 30% 감축하는데 합의했다. 이번 합의는 매탄 배출의 주요 원인인 석유 및 가스 인프라, 폐탄광, 농업 및 폐기물 매립 등을 통한 매탄가스 배출의 규제를 강화하고,다양한 국가의 참여를 통해 에너지 및 폐기물 섹터에 대한 실현가능한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기술혁신 및 농가 인센티브를 통한 농업 섹터 배출 감축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합의의 일부로 향후 중국, 러시아, 인도,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노르웨이, 카타르, 영국, 뉴질랜드, 남아공 등 20여개 국가에 참가를 권유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합의는 11월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기후 서미트를 앞두고 이뤄진 것으로, 향후 에너지, 농업, 폐기물산업 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편, 기후분야 전문가들은 지속적인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과 함께 강력, 신속, 및 지속적 메탄 배출 감축을 추진하는 것이 온난화 방지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EU, 미국, 멕시코가 석유와 가스 인프라 등 유출을 통해 다량의 메탄을 배출하고 있으며, EU와 미국은 연내 매탄 배출 관련 규제를 발표할 예정이다. 메탄은 이
(충남도민일보) 마티아스 코먼 OECD 사무총장은 EU의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CBAM)을 글로벌 차원의 제도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코먼 사무총장은 11일(토) EU 재무장관이사회 비공개회의에서 CBAM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글로벌 제도로 확대하기 위해 OECD 차원에서 협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CBAM에 회의적 입장을 밝혀온 코먼 사무총장의 발언에 CBAM을 '마지막 수단'으로 고려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미국의 의도가 담겨져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또한, 코먼 사무총장의 제안이 CBAM 도입에 따른 EU와 교역상대국간 잠재적 통상분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해석했다. 이와 관련, EU 집행위 관계자는 글로벌 차원의 합의 달성 어려움을 이유로 집행위가 CBAM을 철회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