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 의원은 “SH공사가 운영중인 27개의 위원회 중 외부위원 참여 없이 운영되는 곳이 6곳이나 되고, 특히 보상심의위원회와 설계변경심사위원회의 경우 외부위원의 참여가 선택사항으로 되어 있었다”고 말하고“분양가심사위원회의 경우 외부위원의 임기가 위원회 설치 시점인 2007년부터 10년 이상 동일한 위원이 연임하고 있다”며 “SH공사의 이러한 폐쇄적이고 자의적인 위원회 운영방식은 비위를 낳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또한 노 의원은 “현재 SH공사의 2019년 예산은 아직 편성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국회의원은 벌써 지역 아파트의 위생도기류 교체가 확정 됐다는 내용의 플랜카드를 걸었다”고 말하며 “이런식으로 SH공사의 재산 매각, 매입 관련한 주요 현황도 유출되는 것 아니냐?”며 의혹을 제기 했다.
이어 노 의원은 “현재 공사의 재산을 관리하는 재무개선위원회와 재무개선실무위원회가 폐쇄적으로 작동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의구심을 떨칠 수가 없다”며 “김세용 SH공사 사장은 다양한 의혹과 비위를 근절하기 위해 SH공사의 모든 위원회가 투명하게 운영 될 수 있도록 특단의 조치를 취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