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민일보(도민방송) 정연호기자) 충북도의회 산업경제위원회는 21일 충북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충북 창업 육성 및 지원 제도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어 충북의 창업 생태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토론회는 산업경제위원회 소속 7명의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1부는 이옥규 부위원장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김정진 교수(서원대)가 ‘충북 창업트랜드와 발전 방안’이라는 주제 발표를 했다.
2부는 김꽃임 위원장이 좌장을 맡아 김진덕 충북RISE센터장, 강창식 충북도 경제기업과장, 이철환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벤처투자실장, 김솔비 ㈜쏠바이오대표, 정종현 MUFI 대표가 토론에 참여했다.
김정진 교수는 주제 발표에서 “충북은 교통망과 첨단 기술 인프라를 갖춘 창업 최적지”라며 “지역 특성에 맞는 창업 지원 모델을 구축하고 수도권 중심의 창업 생태계를 극복하기 위한 충북형 창업 지원 조례 제정과 창업 컨트롤 타워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토론에서 김진덕 센터장은 “대학과 지자체, 산업계가 협력하는 창업 생태계 모델을 기반으로 창업 휴학 및 학기제, 맞춤형 창업 교육 확대 등 창업 인재 양성에 노력하겠다”며 “충북 창업드림멘토단과 창업 중심 대학 공모 등을 통해 창업지원 네트워크를 강화하겠다”고 했다.
강창식 과장은 충북이 조성한 1,241억 원 규모의 창업 펀드 성과와 함께 올해 창업 펀드 확충 계획을 발표하면서 “창업에서 도약까지 전략적 지원을 통해 창업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고, 글로벌 시장으로의 스케일업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이철환 실장은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 제공과 멘토링을 체계화하는 지원사업 큐레이션이 필요하다”고 했으며 김솔비 대표는 “지역인재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창업과 인재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종현 대표는 “창업가들이 협력과 네트워킹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 마련”을 제안했으며 방청석 의견으로 장정민 ‘청소하다’ 대표는 “초기 창업가에게 공공기관에서 업무를 처리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나 세무, 노무, 법무 등의 소프트웨어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종갑 도의원은 “정부가 규제 완화를 약속하지만, 기업 현장에서는 규제가 오히려 강화되고 있다는 불만이 있어 산업단지가 아닌 개별 입지에서 규제 해소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과 의정 활동에 반영하겠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토론회에서 제기된 여러 가지 의견을 토대로 창업 관련 정책이나 조례의 제·개정 및 제도개선과 예산 부분까지 심도 있게 논의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