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은 사드 배치를 둘러싼 당내 이견 노출과 통일적 대응 부재로 하락한 반면, 국민의당은 ‘리베이트 의혹, 박선숙·김수민 의원 구속영장 기각’ 보도와 ‘사드 배치 반대’ 對여·對더민주 공세 강화로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야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에서는 김무성 전 대표, 유승민 전 원내대표 등 여권 경쟁주자들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이 2주 연속 하락했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역시 내린 반면,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는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 긍정 33.8%(▲0.8%p), 부정 59.2%(▼0.5%p)
- ‘사드 성주 배치’ 발표 직전 12일(36.3%)에는 30%대 중반 넘어섰으나, 정부의 성주 배치 발표가 있었던 13일(34.2%)과 14일(32.3%), 15일(32.5%) 3일 동안 하락세로 돌아서며, 주간집계로는 소폭 상승
- ‘사드 성주 배치’ 발표 직전 12일 대비 15일 일간집계 결과, TK·PK·호남·서울, 20·50·60대이상, 진보·중도·보수 등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하락했고, 특히 TK(긍정 41.4%, 부정 52.4%)에서는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다시 앞서
- 朴대통령 취임 후 현재까지 TK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앞선 총 7번의 주간집계 중 6번이 올해 4·13총선 후 3개월 동안에 집중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매일경제·MBN ‘레이더P'' 의뢰로 2016년 7월 11일부터 15일까지 5일간 전국 2,526명(무선 8: 유선 2 비율)을 대상으로 조사한 주간집계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 177주차 국정수행 지지도(긍정평가)는 지난주 7월 1주차 주간집계 대비 0.8%p 오른 33.8%(매우 잘함 8.9%, 잘하는 편 24.9%)로 지난 3주 동안의 하락세를 마감하고 소폭 반등했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0.5%p 내린 59.2%(매우 잘못함 33.5%, 잘못하는 편 25.7%)를 기록했다.
부정평가와 긍정평가의 격차는 26.7%p에서 25.4%로 1.3%p 좁혀진 것으로 집계됐다. ‘모름/무응답’은 0.3%p 감소한 7.0%.


‘사드 성주 배치’ 발표 하루 전 12일 일간 긍정평가는 36.3%(부정평가 56.8%)로 30%대 중반을 넘었으나, 성주 결정 이틀 후인 15일에는 32.5%(부정평가 60.8%)로 30%대 초중반으로 내려앉았고, 지역별로는 대구·경북(▼9.2%p, 12일 50.6%→15일 41.4%, 부정평가 52.4%), 부산·경남·울산(▼9.9%p, 45.3%→35.4%, 부정평가 59.2%), 광주·전라(▼5.2%p, 25.0%→19.8%, 부정평가 70.0%), 서울(▼4.3%p, 35.1%→30.8%, 부정평가 60.0%), 연령별로는 20대(▼15.2%p, 22.4%→7.2%, 부정평가 85.4%), 50대(▼8.6%p, 43.0%→34.4%, 부정평가 58.2%), 60대 이상(▼3.5%p, 63.5%→60.0%, 부정평가 34.1%),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6.4%p, 19.8%→13.4%, 부정평가 82.5%), 중도층(▼2.7%p, 25.6%→22.9%, 부정평가 70.8%), 보수층(▼2.4%p, 63.3%→60.9%, 부정평가 35.9%) 등 거의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2013년 2월 박 대통령 취임 후 약 3년 5개월 동안 핵심 지지 지역인 대구·경북에서 주간집계 기준으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넘어선 것은 총 일곱 번이었는데, 그 중 여섯 번은 올해 4·13총선 후 현재까지 3개월 동안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2월 1주차(긍정 42.3% vs 부정 45.2%; 연말정산 논란), 2016년 4월 3주차(46.6% vs 49.2%; 20대 총선 패배), 4월 4주차(46.7% vs 47.9%; 20대 총선 패배), 5월 2주차(47.3% vs 47.7%; 관제집회 개입 의혹 논란 등), 5월 4주차(48.0% vs 48.7%; 상시청문회법 거부권 등 ‘협치’ 논란), 6월 4주차(43.8% vs 52.0%;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 논란), 7월 1주차(42.7% vs 50.1%; 사드 칠곡 배치 논란), 7월 15일(41.4% vs 52.4%; 사드 성주 배치 논란).

일간집계로는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사드 배치 의지와 대구 군·민간 통합 신공항 건설 계획을 밝혔던 11일(월)에는 지난주 주간집계 대비 1.0%p 오른 34.0%(부정평가 59.3%)로 시작해, 다음 날 12일(화)에도 사드 배치와 대구 신공항 건설 관련 보도가 이어지며 36.3%(부정평가 56.8%)로 상승했으나, 정부의 ‘사드 성주 배치’ 공식 발표가 있었던 13일(수)에는 34.2%(부정평가 58.4%)로 내린 데 이어, 박 대통령의 ‘사드 배치 불필요한 논쟁’ 발언이 있었던 14일(목)에도 32.3%(부정평가 60.5%)로 하락했다가, 정부의 ‘사드 배치 성주 주민설명회’와 성주 주민들의 거센 반발 관련 보도가 확산되었던 15일(금)에는 32.5%(부정평가 60.8%)로 하락세를 멈추며, 최종 주간집계는 0.8%p 상승한 33.8%로 마감됐다.
주간집계에서는 대구·경북(▲4.5%p, 42.7%→47.2%, 부정평가 46.1%)과 광주·전라(▲3.1%p, 19.2%→22.3%, 부정평가 67.1%), 서울(▲3.0%p, 29.7%→32.7%, 부정평가 60.2%), 40대(▲5.0%p, 22.4%→27.4%, 부정평가 67.2%), 증도보수층(▲4.6%p, 31.0%→35.6%, 부정평가 47.2%)과 보수층(▲2.9%p, 58.0%→60.9%, 부정평가 34.2%)에서는 오른 반면, 경기·인천(▼1.7%p, 30.6%→28.9%, 부정평가 64.2%), 50대(▼2.0%p, 41.3%→39.3%, 부정평가 53.7%)와 30대(▼1.3%p, 19.1%→17.8%, 부정평가 75.6%), 중도층(▼3.1%p, 26.7%→23.6%, 부정평가 70.9%)에서는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30.0%(▼0.1%p), 더민주 26.3%(▼1.4%p), 국민의당 15.9%(▲1.1%p), 정의당 7.2%(▲0.6%p)
- 새누리당, ‘사드 성주 배치’ 논란 확산으로 TK, PK, 경기·인천에서 지지층 이탈하며 하락세 지속. 11일 이후 4일 동안 내림세 이어져
- 더민주, ‘사드 배치’ 둘러싼 당내 이견 노출과 통일적 대응 부재로 20%대 중반으로 내려앉아. 서울, 대전·충청권, TK에서 주로 이탈했으나, 광주·전라에서는 국민의당에 2주 연속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
- 국민의당, ‘리베이트 의혹, 박선숙·김수민 의원 구속영장 기각’ 보도와 ‘사드 배치 반대’ 對여·對더민주 공세 강화로 반등. PK, 경기·인천 등 주로 새누리당이 하락한 지역에서 상승
- 정의당, TK와 PK에서 지지층 결집하며 2주 연속 상승세
정당지지도에서는 새누리당이 ‘사드 성주 배치’ 논란 확산으로 0.1%p 하락한 30.0%를 기록했다. 일간집계로도 11일(31.3%) 이후 15일(29.2%)까지 4일 동안 하락세를 보였고, 주간집계로는 대구·경북과 부산·경남권을 비롯한 영남과 경기·인천, 30대 이하와 50대, 중도층에서 주로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도 사드 배치를 둘러싼 당내 이견 노출과 통일적 대응 부재로 1.4%p 하락한 26.3%를 기록했으나, 정부의 ‘사드 성주 배치’ 공식 발표 이후 논란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주간집계로는 서울, 대전·충청권과 대구·경북, 40대와 50대, 중도층과 보수층에서 주로 내렸고, 광주·전라(▼0.7%p, 34.3%→33.6%)에서는 소폭 내렸으나 2주 연속 국민의당(30.8%)을 해당지역 오차범위(±6.3%p) 내에서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당은 ‘리베이트 의혹, 박선숙·김수민 의원 구속영장 기각’ 보도와 ‘사드 배치 반대’ 對여·對더민주 공세 강화로 1.4%p 반등한 15.9%를 기록했다. 주간집계로는 부산·경남권과 경기·인천, 30대와 40대, 중도층과 보수층 등 주로 새누리당이 하락한 지역이나 계층에서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정의당은 영남, 30대 이하와 50대, 모든 이념성향에서 지지층이 결집하며 0.6%p 오른 7.2%로 2주 연속 상승했다. 이어 기타 정당이 0.2%p 상승한 4.3%, 무당층은 0.4%p 감소한 16.3%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