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민일보]날로 악화되어가는 극심한 주차문제 해결을 위해 주차정책에 대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대전광역시 주차관리 종합계획’수립에 나선다고 대전광역시가 밝혔다.
지난 2015년 말 기준 대전시 자동차 등록대수는 632,954대이며 주차장은 641,525면으로 주차장확보율이 101.4%로 나타나지만 사실상 부설주차장 비율이 92.9%를 차지하고 있어 실질적인 주차장 확보로 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동안 시에서는 주차시설 공급관리를 위하여 주차환경 개선지원사업 및 이면도로 주차구획선설치, 공동주택주차장확충과 내집주차장 갖기 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주차수요 관리강화 차원에서는 주차요금 급지와 요금체계를 조정한 조례개정 등 승용차 교통수요를 억제하는 정책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연간 1만 2천대 이상 증가하는 자동차 수에 비해 거액의 예산이 소요되는 주차시설 공급은 한계에 봉착하게 되어 기존의 주차정책과 시책사업을 점검해보고 새로운 주차정책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이번 계획을 추진하게 됐다.
종합계획에는 ▲대전광역시의 주차시설현황과 국내·외 주차문제 개선사례 등 현장여건 및 장래 주차수급 분석 ▲주차정책 목표 및 방향 설정 ▲주차수요 관리 기능과 주차시설 공급 계획을 중심으로 다각적인 분야별 개선방안 수립 ▲연차별 투자계획과 재원확보 방안 등을 마련하게 된다.
시는 오는 2021년까지 5년간 시 주차정책을 총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오는 4월부터 6월까지 실태조사와 여건분석 등을 통해 하반기에 종합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특히, 분야별 개선방안 중 사회안전망 확보를 위한 소방도로 골든타임에 대한 부분은 초기 화재진압의 가능성을 높이고 응급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안전 대책강화와 연계되는 만큼 집중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주차여건을 체계적으로 분석·진단하여 현장 맞춤형 주차정책의 추진과 관리를 위한 기본계획으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