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

  • 구름조금동두천 7.1℃
  • 맑음강릉 12.1℃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8.6℃
  • 구름많음대구 9.4℃
  • 맑음울산 11.0℃
  • 구름많음광주 7.6℃
  • 맑음부산 10.7℃
  • 흐림고창 7.1℃
  • 흐림제주 13.2℃
  • 구름조금강화 8.7℃
  • 구름조금보은 4.7℃
  • 구름많음금산 5.3℃
  • 구름많음강진군 6.5℃
  • 맑음경주시 10.4℃
  • 맑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도예가 이종능, 40년 예술 여정 담은 회고전 ‘MUNDUS – 빛은 동방에서’ 인사동서 개최

흙과 불로 우주의 본질을 탐구한 이종능, 인사동서 12월 3일부터 전시
자연의 흔적을 담은 '토흔' 작품으로 생명성과 우주성 표현

 

(충남도민일보) 도예가 이종능 작가가 40년 예술 인생을 집대성한 회고 개인전을 2025년 12월 3일부터 7일까지 서울 인사동 통인화랑에서 개최한다.

 

전시 제목은 ‘MUNDUS’로, 작가가 수십 년간 탐구해온 생명과 우주의 근원적 주제를 응축한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

 

이번 전시에서 사용된 ‘MUNDUS’는 라틴어로 세상과 우주를 의미하며, ‘빛은 동방에서’라는 부제는 동양적 생명성과 정신성을 상징한다. 이종능 작가는 흙을 통해 생명의 순환과 우주적 에너지를 표현해왔으며, 이번 회고전은 그가 오랜 시간 추구한 근원적 세계관을 다시 확인하는 자리가 된다.

 

그의 작품 세계는 오랜 시간 비워온 그릇에서 출발한다. 작가는 그릇을 단순한 용기나 형태로 보지 않고 시간과 열, 인내가 겹겹이 쌓이며 남긴 공간으로 해석해 왔다. 그는 흙과 불을 통해 인간의 존재와 우주의 질서를 직관적으로 담아내며, “흙은 연민이고 불은 열정이다”라고 밝히며 자신의 작업 철학을 설명했다.

 

이종능 작가가 지속적으로 탐구해온 ‘토흔’은 자연과 불이 남긴 흔적을 뜻한다. 표면에 남은 생명의 결, 불길이 스친 자국, 세월이 깎아낸 질감이 그대로 작품이 된다. 작가는 인위적 장식을 최소화하며 자연이 남긴 원형의 흔적을 그대로 담아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우주의 한 조각을 만들어냈다.

 

이종능 작가는 뉴욕, 워싱턴, 런던, 도쿄, 오사카, 두바이, 아부다비 등 세계 주요 도시에서 초대전을 이어오며 한국 도자미의 현대적 깊이를 소개해왔다. 해외 미술계는 그의 작품을 두고 “우주를 흙으로 다루는 철학자”라며 높은 평가를 내렸으며, “그의 빈 그릇에는 이미 많은 것이 채워져 있다”는 찬사도 이어졌다.

 

작가는 이번 회고전을 앞두고 관람객이 작품을 통해 각자의 삶을 비추는 시간을 갖길 바란다고 전했다. 그는 “내가 남긴 빈 공간에 무엇을 담을지는 결국 관람객의 몫”이라며 작품을 통해 삶의 본질을 느끼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종능 개인전 ‘MUNDUS–빛은 동방에서’의 오프닝은 12월 3일 오후 5시에 진행되며, 전시는 5일간 이어진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PHOTO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