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의 지갑은 보다 얇아졌지만 고가제품 구매를 통해 자기만족을 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은 오히려 늘어나는 과시형 소비형태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특히 청소년(중․고등학생) 집단에서 과시형의 명품 소비 성향이 두드러지고 있어 브랜드에 대한 그릇된 가치관을 바로 잡아주고, 합리적인 선택․구매를 위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자 본 지부에서는 10월 25일과 11월 2일에 걸쳐 청소년(중․고등학생) 대상 ‘과시형 소비 근절을 위한 소비자 교육’을 실시했고, 또한 “과시형 소비사회 계도를 위한 ‘스마트 붐붐(boom boom)’ 캠페인”을 통해서는 과시형 소비 근절을 위한 기본 경제 개념을 심어주고자 했다.
‘과시형 소비는 이제 그만! 현명한 소비로 미래의 행복을 보장받자!’ ‘저축습관은 목표를 알게 하고, 계획적으로 소비하며, 미래를 설계할 수 있고, 나눔을 알게 하며, 인성을 길러줍니다.’ ‘똑똑한 용돈관리법’, ‘부자는 현명한 소비에서부터 시작 된다’ 등의 내용을 담은 리플릿과 피켓 등으로 캠페인을 펼쳤다.
청소년들의 용돈관리와 신용 생활 습관에 관련된 질문에 대한 답을 표현하는 스티커 붙이기를 유도하기도 했다. 300여명의 청소년들이 표현한 용돈관리와 신용생활 습관에 대한 표현은 ‘미리 계획한다’와 ‘약속을 꼭 지킨다’가 각각 130여명, ‘빌린 물건이나 돈을 늦게 반납한 적이 많다’는 40여명 ‘과시형 소비를 한 적이 있다’가 90여명으로 나타나 현명한 소비에 대한 교육과 홍보는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과 캠페인에 앞서 지난 7월 방학기간 동안 천안․아산지역 청소년(중․고생) 200명을 대상으로 소비의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청소년들이 합리적인 소비 등에 대한 교육을 정식으로 받은 적이 전혀 없다는 청소년이 83%(166명)에 달해 상당수가 인터넷이나 주변인으로부터 얻은 정보만으로 비합리적인 소비생활에 젖어든 것을 알 수 있었다.
◈ 가장 최근에 산 제품의 선호하는 브랜드와 구매성향
가장 최근에 구매한 제품은 옷이나 신발 등이고 선호하는 브랜드 또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친구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브랜드의 옷을 구입하느냐는 구매성향에 대해서도 그렇다는 답변이 55%였다. 청소년의 브랜드 선호 배경에는 친구들에게 자랑하고픈 심리도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저렴하고 괜찮은 옷 두 벌 보다는 비싼 유명브랜드 옷 한 벌을 사는 것이 더 낫다는 질문에 긍정적인 답변이 45%, 가격이 싼 옷을 입으면 남들이 무시할 것 같다는 질문에도 긍정적인 답변(44%)과 부정적인 답변(56%)이 비슷하게 나타나 청소년의 주관적인 개성을 알 수 있었다.
질 문 내 용 | 전혀그렇지 않다 | 별로 그렇지 않다 | 보통이다 | 다소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친구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브랜드의 옷을 구입한다. | 15 | 60 | 56 | 40 | 14 |
저렴하고 괜찮은 옷 두 벌보다는 비싼 유명브랜드 옷 한 벌을 사는 것이 더 낫다 | 53 | 57 | 51 | 24 | 15 |
가격이 싼 옷을 입으면 남들이 무시할 것 같다. | 45 | 67 | 51 | 29 | 8 |
◈ 고가의 브랜드를 구입한 적이 있다는 청소년(86명)이 고가의 브랜드를 구입한 이유
전혀 그렇지 않다 | 별로 그렇지 않다 | 보통이다 | 다소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
상위 계층에 속하고 싶어서 | 22 | 37 | 26 | 1 | 0 |
나의 개성을 나타내기 위해 | 6 | 23 | 36 | 19 | 2 |
자기만족을 위해(자신감 상승) | 9 | 13 | 34 | 27 | 3 |
남들이 부러워하기 때문에 | 13 | 28 | 36 | 7 | 2 |
비싼 만큼 오래 사용할 수 있다고 해서 | 11 | 13 | 17 | 33 | 12 |
◈ 고가의 브랜드 제품에 대한 만족도, 재 구매의사, 주위에 알리는 방법과 상대는?
구입한 고가의 브랜드 제품에 대한 만족도는 긍정적인 답변이 96%로였고, 매우 만족한다는 답변도 33%나 되어 고가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재 구매 의사는 긍정적인 답변이 84%로 매우 높은 편이었다. 제품에 대해 주위 사람들에게 이야기 한다는 답변이 70%였고, 주로 친한 친구나 선후배 등에게 이야기하고 알린다는 답변이 67%였고, 알리는 방법은 주로 말로 전달(83%)한다고 했다.
◈ 소비나 정보탐색 등에 대한 소비자교육을 받은 여부, 앞으로 받는다면 어떤 내용, 방법으로?
이전에 소비나 정보탐색 등에 대한 소비자교육을 받은 청소년은 17%에 불과했고 받은 적이 없는 청소년이 83%에 달해 소비자교육의 필요성이 확연히 드러났고, 교육의 내용은 저축과 투자에 관련된 내용을 듣고 싶다는 청소년이 46%, 소득과 소비 지출이 26%, 돈의 가치와 기능이 23.4%로 나타나 돈의 가치와 소비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그리고 원하는 교육 방법은 현장체험교육이 59.4%, 강의식 교육이 16.7%, 시청각 교육 13.5%, 역할극 교육 7.3% 순으로 나타나 소비자교육의 방식이 변해야 됨을 알 수 있다.
위의 설문조사 분석에서도 알 수 있듯이 명품 및 프리미엄을 선호하는 소비 성향을 이용하여 유통 마진 등의 폭리를 취하고 시장 경제를 악화시키는 상행위, 자유시장경제체제의 특성과 소비 심리를 이용한 상행위를 바로 잡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현명한 선택․구매가 가장 효율적인 방법임에 합리적인 소비습관을 유도하고 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소비자교육과 경제교육이 필요하다. 교육의 시기 또한 매우 중요하다. 학습의 효과가 가장 큰 조기교육이나 청․소년기 교육은 물론 다양한 홍보와 캠페인 또한 필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