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전시는 다양한 유물에 보이는 백제인의 얼굴을 통해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자 마련하였다. 서산마애삼존불(瑞山磨崖三尊佛)과 같은 백제의 불상들을 대하며 느끼는 편안함과 온화함은 고대로부터 이 지역이 얼마나 평화로운 곳이었는지를 말해 주며, 그 풍족하고 넉넉한 얼굴 표정에서 백제의 생활사·문화사까지도 들여다 볼 수 있을 것이다.
|
특히, 사비백제(泗沘百濟)의 서장을 열고 백제 중흥을 도모했던 백제 제26대 성왕(聖王)의 흉상을 복원하여 역사 속의 백제인을 되새겨보는 자리를 마련하였으며, 1995~96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발굴조사한 부여 능안골 고분에서 출토된 인골을 토대로 백제 귀족 부인을 복원하고 그 과정을 영상으로 담아 소개한다. 뿐만 아니라, 대만 국립고궁박물원 소장〈당염립본왕회도(唐閻立本王會圖)〉에 그려진 백제사신의 복원품과 그 과정을 국립박물관에서는 처음으로 3D 입체영상을 통해 전시장에서 만나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일련의 복원작업은 얼굴박사로 알려진 조용진 교수(전 서울교대)에 의해 진행되었다.
또한 ‘백제사람 되어보기’ 라는 체험코너를 마련하여 관람객이 1,400년전 백제 사람의 모습을 그려보는 기회도 가질 수 있다.
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백제인의 희로애락을 함께 느끼며 백제를 돌이켜 보고 백제 사람을 만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