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문화제추진위원회는 오는 29일부터 10월 7일까지 부여와 공주 일원에서 열리는 제58회 백제문화제에서 마무예(馬武藝), 마상재(馬上才), 보무예(步武藝) 등으로 구성된 ‘백제 마보무예’ 공연 및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
‘마무예’는 기창 짚단찌르기, 마창 참마도 짚단베기, 마상 철퇴 타격, 마상 쌍검 등 말을 타고 그 기동력을 이용하여 싸우는 기병(騎兵)들이 익혀야 하는 무술이어서 박진감 넘치는 무예의 진수를 엿볼 수 있다.
‘마상재’는 달리는 말위에서 행하는 갖가지 기술이자 무예(武藝)로 말위에 서는 주화입마, 안장을 중심으로 좌․우로 번갈아 뛰어넘는 좌우초마 등이 있다. 마상재는 전장에서 실제 사용되는 기마술이지만, 대표적인 유희 및 구경거리 중 하나이기도 했다.
보병들이 삭(장창), 기창, 참마도(곡도), 겸(이지창), 검법 등을 시연하는 ‘보무예’ 관람도 흥미로운 일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올해 첫선을 보인 ‘백제 마보무예’ 공연 및 체험은 한국마사회 특별적립금 지원사업으로 시행하는 프로그램으로, ‘대백제기마군단행렬’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됐다.
대백제기마군단행렬은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백제문화제의 대표 프로그램 역할을 수행해왔지만, 말이 시가지를 이동하는 특성상 안전사고의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백제문화제추진위원회 양창엽 사무처장은 “대백제기마군단행렬은 위험성이 높고, 축제 프로그램에 적합한 훈련마를 구하기 어려운 등 현실적인 여건으로 인해 ‘퍼레이드교류왕국대백제’를 부여지역에서 2회 추가 시연함과 더불어 백제 마보무예를 도입하게 됐다”며 “북부여에서 고구려와 백제로 계승된 기마민족의 진수를 만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