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주물유기장의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지정 인정에 관련 잡음이 끈이지 않고 있다.
이번 거창주물 유기장의 문화재 지정 공고에 앞서 경상남도 문화재 심의위원회의 비공개 심의를 놓고 다수 유기업계는 불공정 특혜를 주장하고 있는가 하면 또 다른 한쪽에서는 문화재 심의위원들과의 친분·유착설까지 나도는 등 전반적으로 어수선한 상황이다.
특히 일부 직접 관련자는 도와 문화재청에 이의제기와 함께 무형문화재 지정 및 보유자 인정 예정을 중지해 달라는 가처분 준비하는등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
12일 경상남도 지사 명의로 홈페이지에 게시된 '무형문화재 지정 및 보유자 등 인정 예정' 공고에 따르면 거창주물유기장은 전승가치가 인정되고 전승능력 및 전승환경이 우수해 무형문화재로서의 지정 가치를 충분히 갖추고 있어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종목으로 지정하고, 전승기량이 우수하고 전승 의지를 갖춘 이모(63) 씨를 보유자로 인정하자 함이라고 지정 및 인정이유로 내세우고 있다.
이모 씨는 내달 22일이면 경상남도지사의 공고 내용과 같이 문화재로 지정되며, 이후 이 공방에서 큰 노력 없이 유기 일을 관여해 온 일부가 기능보유자 후보, 전수교육조교 등을 일괄 심사받는 해프닝이 벌어지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런 가운데 이번 거창주물유기장의 문화재 종목 신설에다 보유자 지정까지 이어진 '줄 특혜' 논란에 경남도 무형문화재 심의 위원장을 지난해까지 역임한 거창출신 박모 씨의 이름이 오르내리면서 유착 의혹까지 일고 있다.
그동안 거창주물유기장의 문화재 보유자 지정을 향한 줄 이은 신청 이면에는 경남도 문화재 심의위원으로 위촉된 박모 씨가 '거창유기특구'에 대한 애향심을 빌미로 한 특정인을 향한 문화재 보유자 만들기 집념이 도를 넘으면서 불필요한 오해를 담은 지적이 줄기차게 제기됬다.
이번 문화재 지정과 관련해 거창주물유기장은 뉴스경남 기자와의 통화에서 바쁘다는 이유 등을 내세우며 불필요한 소모전을 기피하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고전했다. 십수 년 동안 문화재 보유자 지정 신청을 놓고 꿰맞추기 의혹과 기량부족, 공학박사론 등의 설전으로 크고 작은 곤혹을 치러온 당사자이기도 하다.
이런 그가 지난 10여 년간의 논쟁은 아랑곳없이 내달 22일이면 경남도 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지정되는 예정자에 포함된 사실을 놓고 유기업계 관련자들의 엇갈리는 반응 이면에는 크게 "인간의 끈질긴 집념이 결국 결실을 맺었다"면서도 "공정성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 유기업계 관계자는 "이번 거창주물유기장의 문화재 지정으로 인해 유기업계 내부에서 조차도 문화재 보유자 폐지론이 부각될 듯하다"면서 "문화재 보유자 지정 기준이 전승해야 할 기능 쪽에 맞춰져야 함에도 결국 특정인들의 아집에 의해 종착역에 도달했다는 점에서 씁쓸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