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수현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충남 공주시)이 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09년 1만2,532건, 2010년 1만1,259건, 2011년 1만2,121건, 2012년 1만2,908건, 2013년 1만3,316건의 자전거 사고가 발생했다.
연도별 사망자수는 2009년 337명, 2010년 297명, 2011년 275명, 2012년 289명, 2013년 282명이다. 우리나라의 자전거 사망자는 인구 10만명 당 0.6명 수준으로 OECD 국가 평균 0.4명에 비해 높은 편이다.
자전거 사고 발생건수가 가장 많은 광역자치단체는 서울시로서 2013년 3,250건의 자전거 사고가 발생해 3,410명이 부상당하고 26명이 사망했다. 반면 사망자수가 가장 많은 광역자치단체는 경기도로 2013년 2,309건의 자전거 사고가 발생해 2,326명이 부상당하고 50명이 사망했다.
자전거를 이용한 출퇴근 인구와 레저 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데 비해 매년 자전거 사고와 사망자수는 줄어들지 않고 있어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지난해 정부는 안전모 착용 시 사망 비율을 90% 감소시킬 수 있다며 안전모 착용을 홍보하고,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채 자전거를 타는 모습이 상업광고나 드라마에 방송되지 않도록 관계 기관에 협조를 요청했다.
그러나 교통안전업무를 관장하는 교통안전공단은 자전거 교통사고 예방 및 안전운전 체화를 위해 초등학교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어린이 자전거 자격시험’을 실시해 2010년에는 5,555명이 참여했으나 2013년에는 3,555명만이 참여해 36%나 감소했다. 올해 6월까지는 975명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어린이 자전거 자격시험 참여 현황>
구 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6월 |
인 원 | 5,555명 | 4,017명 | 1,977명 | 3,555명 | 975명 |
※출처: 교통안전공단 국정감사 자료
이와 같은 어린이 자전거 안전교육의 축소로 공단의 교통안전행사 및 자전거 자격시험 등에 참여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배포하는 안전모 배포도 2010년에는 10,000개를 배포하였으나 2013년에는 7,000개로 30%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안전공단 안전모 배포 현황>
구 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인 원 | 10,000개 | 6,000개 | 6,000개 | 7,000개 | 5,300개 |
※출처: 교통안전공단 국정감사 자료
박수현 의원은 “친환경 교통수단이자 건강증진에도 좋은 자전거 이용자수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자전거 사고와 사망자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말한 뒤 “그러나 교통안전공단의 자전거 안전대책은 뒷걸음질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자전거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단의 교육과 홍보를 확대해야 한다”면서 “어린이에게 한정되어 있는 자전거 교육을 성인들에게도 실시해 자전거가 안전한 교통수단이 될 수 있도록 안전문화 확산에 공단이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