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충남도민일보]산림청이 홍문표(새누리당 예산·홍성)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림청 추진 중인 산림치유의 숲 사업에 대한 지역차별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산업화,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만성·환경성질환 등이 크게 늘어나면서 산림의 다양한 환경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산림치유”에 대한 관심이 증가로 방문자는 2011년 157,571명 에서 2012년에는 314,797명으로 2배이상 급증하였으며 치유의 숲 프로그램 이용자 또한 11,327명에서 31,215명으로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 치유의 숲을 운영 및 조성 현황을 보면 현재 운영 중인 곳은 4군데로 경기1곳, 강원1곳, 전라남도2곳 에서 운영 및 시범운영하고 있으며 경기3곳, 강원2곳, 충청북도2곳, 경상남도3곳, 전라남도7곳, 전라북도1곳, 제주도1곳, 울산,1곳 등 20곳에 조성중이며 충청남도와 경상북도만 치유의 숲이 조성 예정조차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홍문표 의원은 “최근 3년 간 치유의 숲 프로그램 이용자는 10배증가하고, 방문객은 4배 이상 증가했는데, 이 프로그램이 없는 충남도민들도 일부러 다른 지역의 치유의 숲을 찾아가는 실정”이라 말하며 “특히 충남도청은 도청 이전으로 인해 경제, 사회, 문화, 등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는 곳으로 산림정책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도와 변화가 이어져야 한다”강조하며 “내년도 산림청의 치유의 숲 정책에 소외 받고 있는 지역에 대한 배려가 뒤따라야 한다”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