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회의원

박완주 국회의원, 에너지원 빈익빈 부익부 실태 충격적....도시가스 미 공급 시군 전국에 48개

서울 등 대도시는 값싼 연료 공급, 지방은 비싼 연료 사용

  • 등록 2013.09.30 13:08:00
[서울=충남도민일보]아직까지도 도시가스가 들어가지 않는 시군 기초자치단체가 전국에서 48개나 되면서 ‘에너지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당 박완주 의원(사진. 천안을)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전국 시군구 기초자치단체별 도시가스 보급률 자료’에 따르면 국내 232개 시군구 평균 도시가스 보급률은 74.5%로 미 보급 자치단체가 48개에 96만6000여 세대였다.

도시가스 보급률은 지역별로 광주시가 94.2%로 가장 높았고 서울(93.9%), 대전(92.1%), 인천(88.6%), 울산(86.3%), 경기(83.5%)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제주도는 5.3%로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낮았고 전남(35.0%), 강원도(37.5%), 충남(48.9%), 세종(49.4%), 경북(50.7%), 경남(53.3%), 충북(56.2%)로 그 뒤를 이었다.

도시가스가 전혀 들어가지 않는 기초단체는 경북이 문경시와 봉화군 등 12개 지역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강원도와 전남도 각각 11개, 경남도 7개, 장수군과 충남도 각 2개, 인천시와 제주도, 충북도가 각 1개씩 이었다.

특히 도시가스가 들어가지 않는 48개 시군 가운데 14개는 아예 도시가스공급권역으로도 지정되지 않고 있었다. 반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대전, 울산, 경기 등 수도권과 대도시는 도시가스 미 공급 기초자치단체가 전혀 없었다.

박완주 의원은“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안전한 도시가스의 미보급 지자체가 20%를 넘는다는 것은 충격”이라며“시도별로 보급률 차이가 있고, 특히 지방으로 갈수록 보급률이 떨어져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지역별 도시가스 보급률이 차이지는 것은 배관설치에 따른 비용 때문이다.

현행 도시가스 공급은 주배관을 가스공사가 담당하지만, 집 앞까지의 세부 배관은 시공사가 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가스사업자는 세대수가 작고 건설비가 많은 지역의 배관선로는 경제적로 이득이 없기 때문에 꺼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가스사업법」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가스공급시설의 설치비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자치단체들은 지원조례를 만들어 588억원이 조성되고, 59개 시군구에서 358억원의 지원이 이뤄졌다.

하지만, 국가차원에서 제대로 된 지원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높은 수도권과 대도시는 비교적 저렴한 도시가스를 난방용과 취사용으로 공급받는 반면, 소득이 낮은 농촌지역은 비싼 LPG와 석유를 이용해 에너지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박완주 의원은“에너지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줄이려는 국가차원의 지원이 여전히 소홀하다”며“배관건설에 시간이 필요하고 경제성이 없다면 보다 저렴한 난방과 취사용 에너지 제공을 위해 소형LPG 저장탱크 보급이나 탱크로리에 의한 도시가스 공급 등 적극적인 지원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완주 의원은 지난 4월 도시가스 미 공급지역의 보급 확대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도시가스사업법」개정안을 발의한 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PHOTO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